2025년 공휴일 총정리

2025년 공휴일은 몇 일일까요? 대체공휴일과 쉬는 날까지 합치면 어떤 연휴가 기다리고 있을지 궁금하시죠? 이 글에서는 2025년의 공휴일 수를 총정리하고, 근로자 기준으로 황금연휴 가능성을 함께 알아봤습니다

  

2025 전체달력 보기

 


 

📅 2025년 공휴일 수

 

2025년에는 법정공휴일(주말 제외)이 총 66일입니다. 여기에 대체공휴일이 추가되며 실제 쉴 수 있는 날은 더 늘어납니다.

총 공휴일 수: 66일 (주말 포함 시 체감 휴일 더 많음)

대체공휴일 포함 시: 최대 69일 가능성

✔ 6월 3일은 대통령 조기선거로 임시공휴일로 확정


이처럼 대체공휴일과 임시공휴일까지 포함되면, 직장인 기준으로 꽤 여유로운 한 해가 될 수 있습니다.

올해 연차는 꼭 전략적으로 사용하세요!



📌 대체공휴일 적용 정리

 대체공휴일은 어린이날, 설날, 추석, 광복절 등이 일요일과 겹칠 때 평일 하루를 쉬게 해주는 제도입니다. 2025년 대체공휴일 발생일은 아래와 같습니다.

어린이날(5월 5일 월요일): 그대로 휴일

부처님오신날(5월 6일 화요일): 월요일과 붙은 황금연휴

추석 연휴(10월 6일~8일): 10월 9일 한글날까지 이어지는 초특급 연휴!

대체공휴일이 잘 붙어 있어, 자연스러운 황금연휴가 만들어지는 구조입니다. 특히 10월은 거의 ‘황금 주간’입니다. 캘린더 미리 확인하고, 휴가 계획 지금 세우세요!


2025 전체달력 보기



🌟 2025년 황금연휴 언제?

 2025년은 총 3회의 황금연휴가 있습니다. 연차 하루만 사용해도 4~6일을 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.

설 연휴: 1월 27일(월) ~ 1월 29일(수) + 1/30 연차 → 주말 포함 최대 6일

5월 초: 5/1 근로자의 날, 5/2 연차 사용 시 최대 5일 연휴

추석~한글날: 10월 6일(월) ~ 10월 9일(목)까지 총 4일 연휴

이처럼 연차 한두 번이면 긴 여행도 가능하니 미리미리 계획하세요!



🗓 근로자 기준 공휴일 캘린더

 근로기준법상 유급휴일로 인정되는 날들을 아래에 정리해보았습니다.

1월 1일(신정)

1월 27~29일(설 연휴)

3월 1일(삼일절)

5월 1일(근로자의 날)

5월 5일(어린이날)

6월 3일(조기대선일 – 임시공휴일)

8월 15일(광복절)

9월 14~16일(추석)

10월 3일(개천절)

10월 9일(한글날)

12월 25일(성탄절)


공휴일은 근로자 근무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, 회사의 내규와 함께 확인해보세요.


 

다음 이전